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정리하여 문서로 남기기위해 검색을 하는 도중 다음과 같은 좋은 변역 블로그를 발견했다. 관심있으시면 한번 읽어보고 개념을 잡아보기 바란다.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은 크게 2가지로 분류되고 세부적으로 분류하면 3가지로 분류할수 있다.
절차지향, 객체지향, 함수형 프로그래밍
각 패러다임의 단점들을 보완하기위해 순차적으로 발전된 형태로 진화하고 있는것인데 그렇다고해서 오른쪽의 것이 항상 좋은것은 아니다.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프로젝트 규모나 성향에 따라서 잘 선택해서 사용해야 한다.
아직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해 익숙하지 않은데다가 어떤 단점이 있는지 조사하고 확인 중이라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다른것 보다는 좋다고 말할 수는 없을것 같은데 아래의 글들을 읽고나니 어느정도 감이 잡힌다.
블로그 주인장의 다음 요약글 중에 CPU에 관한 글이 앞으로 함수형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배워야 할 당위성 중에 가장 와 닫는다. 그리고 관심있게 공부하고 있는 RUST 언어의 특성 중 가변 속성이 아닌 불변 속성을 지향 하는 이유도 이해할 수 있었다.
단기간 학습해서 사용하겠다는 개념으로 접근할게 아니라 긴 호흡으로 이해하고 연습하고 적용해야 할 것 같아보인다.
https://front-end.me/javascript/functional-programming-1/
https://front-end.me/javascript/functional-programming-2/
https://front-end.me/javascript/functional-programming-3/
https://front-end.me/javascript/functional-programming-4/
https://front-end.me/javascript/functional-programming-5/
https://front-end.me/javascript/functional-programming-6/
https://onlyfor-me-blog.tistory.com/431
'Programming > Comm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설명] 수학기호 명칭을 배워봅시다. (1) | 2023.01.15 |
---|---|
동시성이란 무엇인가 (0) | 2021.12.29 |
C# 동시성 프로그램 2판(Concurrency in C# Cookbook 2/e) (0) | 2021.12.27 |
Golang 시작하기 (0) | 2021.12.25 |